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7월과 9월에 납부하는 재산세가 큰 부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세표준액을 미리 확인하고 정확한 세금 계획을 세운다면, 불필요한 걱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재산세 과세표준액 조회 방법을 주택, 토지, 건축물별로 정리하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간단히 확인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립니다.
재산세 과세표준액이란?
과세표준액이란 재산세를 부과하기 위한 기준 금액입니다. 정부가 정한 공시가격 또는 시가표준액을 바탕으로 일정 비율을 곱해 산정됩니다.
구분 | 과세표준 산정 방식 |
---|---|
주택 | 공시가격 × 60% |
건축물 | 시가표준액 × 70% |
토지 | 개별공시지가 × 면적 × 70% |
재산세 과세표준액 조회 방법 총정리
1. 위택스(WETAX) 시가표준액 조회
-
홈페이지: www.wetax.go.kr
-
조회 방법:
-
메인 메뉴 → “시가표준액 조회” 선택
-
주택, 건축물, 토지 선택
-
주소 또는 지번 입력 후 바로 확인 가능
-
2. 서울시 ETAX 시가표준액 조회 (서울 거주자)
-
홈페이지: etax.seoul.go.kr
-
조회 방법:
-
“시가표준액 조회/발급” 메뉴 클릭
-
건축물/주택 선택 → 지번 입력
-
시가표준액 및 과세표준 확인
-
3. 국토교통부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
홈페이지: www.realtyprice.kr
-
조회 대상:
-
공동주택, 단독주택, 토지 공시가격 확인
-
-
활용법: 공시가격 확인 후 과세표준 계산 시 활용
과세표준액 계산 예시
주택 예시
-
공동주택 공시가격 5억 원
-
과세표준액 = 5억 × 60% = 3억 원
건축물 예시
-
상가 시가표준액 1억 원
-
과세표준액 = 1억 × 70% = 7천만 원
토지 예시
-
개별공시지가 100만 원, 면적 100㎡
-
과세표준액 = 100만 × 100㎡ × 70% = 7천만 원
재산세 계산기 활용 TIP
간편하게 재산세 예상 세액을 알고 싶다면?
-
부동산계산기.com에서 과세표준 입력 후 세액 자동 계산 가능
자주 묻는 질문 (Q&A)
Q1. 공시가격과 시가표준액 차이는 뭔가요?
A. 주택은 공시가격, 건축물은 시가표준액이 기준입니다. 과세표준 산정 기준이 다릅니다.
Q2. 과세표준은 매년 언제 기준인가요?
A.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Q3. 재산세 조회는 무료인가요?
A. 네, 위택스와 ETAX 모두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Q4. 토지 재산세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A. 개별공시지가에 면적과 70%를 곱해 산출한 과세표준으로 계산합니다.
Q5. 세금이 너무 높게 나왔는데 어떻게 확인하나요?
A. 과세표준 조회 후 이의신청이 가능하며, 위택스에서 세금 납부 내역도 확인 가능합니다.
마무리: 재산세, 미리 확인해서 대비하세요
재산세 과세표준액 조회는 누구나 손쉽게 온라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내 부동산의 세금 기준을 미리 확인하고 정확한 세금 계획을 세워보세요. 지금 바로 위택스 또는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에서 조회 시작해보세요.